1급 부산국세청(청장. 장일현)이 조직+보직적 측면에서 제 기능과 역할을 다 하기 위한 명실상부한 1급 지방국세청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조사3국장, 부이사관급 감사관, 그리고 50여석에 달하는 정식 서기관(+세무서장급)이 보강+확충 돼야 하지만, 이는 현재의 상황을 곱씹어 보더라도 앞으로 10년 이상은 더 세월이 지나야 가능할 지도 모를 그런 인사수준에 머물고 있다. 그런데, 상대적으로 전현 국세청장은 부산청장을 역임한 사람들이 최고의 요직에 오르기 도 해 참으로 국세청 인사역사는 아이러니 한 일이 아닐 수 없다.<사진은 본지 기자가 직접 촬영한 부산국세청 청사 전경>
©온투데이뉴스-김현호 선임기자<=국세청 인사초단>
|
"조사3국장도 없고, 부이사관 당상관도 없고, 약 50여석에 달하는 정식 세무서장+서기관 과장급도 없도...이른 바 명색이 1급 정치 1번지+1급이상 기관이 가장 많은 곳을 관내로 두고 있는 부산국세청 관내의 현 인사상황이 바로 그것이다...<중략>"
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을 배출한 현 상황에서 국세청은 1)명퇴권유도 사라지고, 2)작년부터 세무서장 배출 첫 관문이자 등용문인 서기관 승진인원도 30여명에서 20명으로 뚝 떨어지고, 3)본청, 세원정보국장, 4)서울청 조세범칙조사국장, 5)중부청 조사4국장, 6)부산청 조사3국장과 감사관의 3급 부이사관급 등을 위시로 한 조직확대 개편은 역대 어느 청장이 와도 이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.
특히 3곳 1급 지방청 중 부산청의 경우 이처럼 보직상 1급 지방청 역할을 다 하지 못 해 오죽하면, 1급 부산국세청장은 인천+대전청장 보다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 이제, 공공연한 비밀이자 매 인사 때 마다 수면위로 급부상+표면화 되고 있기도 하다는 게 정설이자 현실이 된 지 이미 오래다.
한편 지난 해 말~올 초 인사에서도 pk출신 김동일 국세청 징세법무국장(전 국세청 조사국장)이 정치적 인사로 인해 1급 부산청장과 2급 인천청장 사이를 놓고 온갖 소문과 하마평, 그리고 설설설(說) 등을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이기 도 한 그 진원지가 되기도 했었고, 그 인사현상은 현재도 진행형이다.<다음호에 계속>
<정보와 팩트에 충실한, 온투데이뉴스=김현호 선임기자(국세청=인사초단)>
(핸)010-5398-5864...1)다음카카오 이메일:hhkim5869@daum.net
@티스토리:국세청 인사초단(주소:hyun1186.tistory.com
2)카카오 구글 이메일:a01053985864@gmail.com+(구 국세청 인사초단)
|